식생활 복지를 위한 학교급식 확장

[교육공무직본부]07_웹포스터(합본).png

✅ 현황과 진단

○ 보편적 권리로 확실히 뿌리내린 학교급식(급식운영현황_20.2.28기준)

<연도별 급식예산 및 보호자 부담비율>_교육부, 2019년 학교급식 실시현황

image01.png

○ 코로나19로 재확인된 학교급식의 위상과 역할

○ 학교급식을 둘러싼 지역사회 인프라

○ 열악한 급식실 노동환경 개선 시급

○ 취약계층 아동청소년 대상 급식지원 확대 절실

<취약계층 아동 급식 지원 현황>_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의원실⁶⁾ (단위 : 명, %)

Untitled

<연령별 취약계층 아동 급식 지원 현황>_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의원실⁷⁾ (단위 : 명, %)

Untitled

○ 학교급식의 다양성 실현 및 교육적 가치 제고


1) 급식실시 학교수 : (15년)11,698교 → (16년)11,747교 → (17년)11,800교 → (18년)11,818교

2) 급식이용 학생수 : (15년)614만명 → (16년)593만명 → (17년)574만명 → (18년)561만명 평균 급식 학생수 : (15년)525명 → (16년)504명 → (17년)487명 → (18년)474명

3) 2020 7월 기준 14개(서울, 대구, 인천, 광주,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지역 및 1개 군(부산 기장군)에서 농산물 꾸러미 지원 사업 추진. 그 외 4개(울산, 부산, 제주, 세종) 지역은 교육재난지원금 형태로 지원. 세종은 농산물꾸러미 사업과 교육재난지원금 사업 병행.

4) 경기 수원시 한 중학교에서 10여년 간 조리실무사로 일하다가 폐암으로 사망한 한 노동자의 유족이 산재 신청

5)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18년 이후 2021년 12월 7일까지 폐암 산재 신청한 학교급식 노동자가 31명이고, 13명이 산재를 인정받았다고 밝혔음. 이 외에도 백혈병과 대장암을 포함해 학교급식을 위해 일하다가 병을 얻었다며 산재로 인정해달라고 신청한 노동자는 2018년 이후 총 34명으로 집계

6) 보건복지부, 사회보장정보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 재구성

7) 보건복지부, 사회보장정보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 재구성

8) 학교급식 노동자 중 영양(교)사를 제외한 조리 업무 수행 6만여 노동자들 대다수는 방학중비근무자로, 해당 기간 일부 수당 지급을 제외하고는 무급임.

교육복지플러스 브랜드로고(최종).png

제안 취지

교육복지 +플러스학교 개괄

‘교육복지 +플러스학교’는?

📌 [워킹페이퍼] 학교공공성과 교육복지

과제①: 공공 보육과 초등돌봄의 확대 및 획기적 운영 개선

과제②: 식생활 복지를 위한 학교급식 확장

과제③: 정서 안정과 발달을 위한 상담과 치유 기능의 확대

과제④: 안전한 등하교를 책임지는 이동 지원 시스템의 강화

과제⑤: 적극적 교육 참여가 가능한 특수아동 지원체계 강화

과제⑥: 방과 후 과정의 안정적 운영과 다양성·창의성 증대

과제⑦: 모두가 행복한 교육복지(교육공무직 노사관계)

과제⑧: 교육과정과 협력하는 교육복지 운영체계 구축

과제⑨: 민주적이며 체계적인 교육행정 지원체계 강화

과제⑩: 학교에서 보고 느끼는 노동존중 사회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교육감 후보자 정책 협약 결과 보도자료 바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