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과 후 과정의 안정적 운영과 다양성·창의성 증대

✅ 현황과 진단

○ 코로나19 충격과 취약계층 돌봄 공백 심화

○ 방과후과정 현황과 개선점

방과후과정 주요 활동내용 대상 전담인력 문제점
유치원방과후과정 정규 교육과정 이외의 교육 및 돌봄활동 유치원 유아(무상) 유치원방과후교육사(또는 전담사) 정규직과 지위, 처우, 근무여건의 격차
과밀학급
방학 중 업무 과중
초등돌봄교실 신체적 정서적 안정 유지
놀이 중심의 다양한 개인활동 및 집단활동
(방과후학교)연계형 돌봄 맞벌이, 한부모, 저소득층 초등 저학년 아동(무상) 돌봄전담사 단시간제 근무
행정업무시간 부족
법적 근거 없음
겸용교실의 한계
낮은 처우
방과후학교 교과과목 보충
다양한 특기적성 강좌 신청학생(자비 부담) 방과후학교강사
방과후코디 등 고용불안
단시간제 고용
불안정한 운영
낮은 처우

교육복지플러스 브랜드로고(최종).png

제안 취지

교육복지 +플러스학교 개괄

‘교육복지 +플러스학교’는?

📌 [워킹페이퍼] 학교공공성과 교육복지

과제①: 공공 보육과 초등돌봄의 확대 및 획기적 운영 개선

과제②: 식생활 복지를 위한 학교급식 확장

과제③: 정서 안정과 발달을 위한 상담과 치유 기능의 확대

과제④: 안전한 등하교를 책임지는 이동 지원 시스템의 강화

과제⑤: 적극적 교육 참여가 가능한 특수아동 지원체계 강화

과제⑥: 방과 후 과정의 안정적 운영과 다양성·창의성 증대

과제⑦: 모두가 행복한 교육복지(교육공무직 노사관계)

과제⑧: 교육과정과 협력하는 교육복지 운영체계 구축

과제⑨: 민주적이며 체계적인 교육행정 지원체계 강화

과제⑩: 학교에서 보고 느끼는 노동존중 사회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교육감 후보자 정책 협약 결과 보도자료 바로 보기

○ 방과후과정 가치 재평가의 필요성

image01.png

김인경, 「아동 발달을 위한 초등 방과후학교 개선방향」, KDI정책포럼 제285호(2021-04).

○ 운영의 불안정성 등 운영개선 필요